작년(2019년)에 처음으로 책 2권을 (주)부크크 출판사를 통해 출간하였다. 올해에도 같은 출판사에 의뢰하여 그동안 동해안 해파랑 길 50개 코스를 완주하며, 그리고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조선 왕릉 40기를 관람하면서, 보고 느꼈던 글을 정리하여 두 권의 도서로 발간하여 소개합니다.
1권, 해파랑 길에서 나를 찾다
< 사진을 클릭하면 확대 선명함 >
1) 출간일: 2020. 1. 16.
2) 쪽수 및 정가: 240쪽 , 16,500원
3) 구입처(인터넷구매): 예스 24, 알라딘, 부크크 등 인터넷서점
4) 책의 목차
머리말
제1화 동해안 해파랑길
부산구간(1~4코스) : 오륙도공원~진하해변
울산구간(5~9코스) : 진하해변~정자항
경주구간(10~12코스) : 정자항~양포항
포항구간(13~18코스) : 양포항~화진해변
영덕구간(19~22코스) : 화진해변~고래불해변
울진구간(23~27코스) : 고래불해변~부구삼거리
삼척.동해구간(28~34코스) : 부구삼거리~옥계시장
강릉구간(35~40코스) : 옥계시장~주문진해변
양양.속초구간(41~45코스) : 주문진해변~장사항
고성구간(46~50코스) : 장사항~통일전망대
제2화 해파랑길 주변 관광명소
삼척 해양레일바이크(30코스) : 궁촌역~용화역
바다 열차(32코스) : 삼척역~강릉역
바다 부채길(35코스) : 썬크루즈 주차장~심곡항
양양 낙산사(44코스) : 낙산사길의 의상대
5) 책의 내용 소개
작년부터 시작했던 동해안 고성 통일전망대에서 부산 오륙도까지 걷는
해파랑길 50코스(770km)를 최근에 완주했다. 처음에는 산티아고 순례길
처럼 장거리라 걱정을 했지만, 국내이고 하루 이틀 걷다 보니 자신감이
생겨 완주하면서나 자신을 찾게 되었다.
육지와 바다가 어우르는 해안선, 하늘과 바다가 맞닿은 수평선, 넘실대는
파도 등 아름다운 풍경 들이 이제는 널리 알려져, 많은 길벗들이 함께 걷는다. 이책이 처음 걷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2권, 가족과 함께 찾는 조선왕릉
< 사진을 클릭하면 확대 선명함 >
1) 출간일: 2020. 9. 4.
2) 쪽수 및 정가: 225쪽 , 15,800원
3) 구입처(인터넷구매): 예스 24, 알라딘, 부크크 등 인터넷서점
4) 책의 목차
머리말
첫째 날: 동구릉(東九陵, 경기도 구리시)
건원릉(建元陵), 현릉(顯陵), 목릉(穆陵), 휘릉(徽陵),
숭릉(崇陵), 혜릉(惠陵), 원릉(元陵), 경릉(景陵), 수릉(綏陵)
둘째 날: 서오릉(西五陵, 경기도 고양시)
경릉(敬陵), 창릉(昌陵), 익릉(翼陵), 명릉(明陵), 홍릉(弘陵)
셋째 날: 서삼릉(西三陵, 경기도 고양시) 외
희릉(禧陵), 예릉(睿陵), 효릉(孝陵), 온릉(溫陵, 양주시)
넷째 날: 파주삼릉(坡州三陵, 경기도 파주시) 외
공릉(恭陵), 순릉(順陵), 영릉(永陵), 장릉(長陵, 파주시)
다섯째 날: 서울 강남, 선릉(宣陵),정릉(靖陵), 봉은사,
헌릉(獻陵),인릉(仁陵)
여섯째 날: 서울 강북, 태릉(泰陵), 강릉(康陵), 정릉(貞陵),
의릉(懿陵), 연산군묘
일곱째 날: 남양주 홍릉(洪陵), 유릉(裕陵), 사릉(思陵), 광해군묘
여덟째 날: 여주 영릉(英陵), 영릉(寧陵), 신륵사, 여주여강길,
남양주 광릉(光陵), 광릉수목원
아홉째 날: 화성 융릉(隆陵), 건릉(健陵), 용주사, 수원화성(팔색길)
김포 장릉(章陵)
열째 날: 강원도 영월 장릉(莊陵), 청령포, 선돌
종 묘
(부록) 세계유산 등재 종선왕조 일람표
5) 책의 내용 소개
이씨조선 519년 동안 27대에 걸쳐 이어진 왕과 왕비의 무덤이 2009년
6월30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우리의 빛나는 유산이 학술적,
문화적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국민 모두가 자긍심을 갖게 되었다.
한 왕조의 왕릉들이 훼손 없이 보존되어 오는 것은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조선 왕족의 무덤은 모두 119기가 있는데, 이 중에서 왕릉이 42기, 원 이
13기, 묘가 64기이다. 신분에 따라 그 명칭을 달리하여, 왕릉(王陵)은 왕과
왕비, 원(園)은 왕세자와 왕세자빈 또는 왕의 사친(私親), 그외의 왕족의
무덤은 묘(墓)라고 한다.
조선 27대 왕 중에서 묘호(廟號)를 받지 못한 연산군과 광해군 그리고
북한에 있는 정종의 후릉(厚陵)을 제외하면 24기이다. 단릉(單陵)으로 모신
왕비 능 중에서 북한에 있는 태조의 원비 신의왕후 제릉(齊陵)을 제외하고,
추존된 왕의 능을 합하면 16기로 총 40기가 등재되었다. 폐위 된 연산군 및
광해군의 묘와 왕릉과 함께 있는 왕세자 및 왕세자빈이 묻 힌 원(園), 자손들
의 묘(墓), 그리고 주변의 원찰 및 관광지 등 까지 돌아 보았다.
'책 이야기 > 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도 출간한 도서 ‘올레와 오름을 품은 제주’를 소개 합니다 (0) | 2021.08.27 |
---|---|
염원하던 도서를 출판하여 소개합니다 (0) | 2019.09.13 |
총각과맹꽁이, 안해(아내), 형 - 김유정 (0) | 2012.11.25 |
동백꽃, 금따는 콩밭, 소낙비 - 김유정 (0) | 2012.11.06 |
봄봄, 산골나그네, 만무방 - 김유정 (0) | 2012.11.01 |